전체 글43 항존주의 교육관/아들러와 허친스의 교육사상/현대적 의의와 비판 항존주의는 진리는 시대와 문화를 초월하여 존재한다는 철학적 전제에서 출발하며, 교육의 목표는 이러한 항구적 진리를 가르치는 데 있다고 봅니다. 고전 문헌과 정신적 수양을 중시하는 이 사조는 현대 교육에서 실용주의와 진보주의의 흐름과 대조를 이루며 학문 중심 교육과 교양 교육의 정당성을 제시합니다. 본 글에서는 항존주의 교육철학의 핵심 개념과 대표 학자들의 사상을 정리하고, 이 철학이 오늘날 교육에 던지는 함의와 비판점을 함께 탐구하고자 합니다. 항존주의 교육관항존주의는 인간 존재의 본질과 진리를 탐구하는 전통적 철학에 기반한 교육사조로, 진리는 역사나 사회적 변화에 따라 상대화되지 않는다는 관점을 중심에 둡니다. 이는 실용성과 변화를 강조하는 진보주의적 관점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인간의 이성과 정신.. 2025. 5. 20. 하워드 가드너와 다중지능이론/ 여덟 가지 지능/ 쟁점과 가치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인간의 지능을 언어적·논리적 능력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능력으로 확장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전통적인 지능관에 도전하며, 교육에서 개인의 강점을 발굴하고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교 교육과정 설계,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다양화에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적 실천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다중지능이론의 개념과 배경, 교육적 함의, 그리고 비판적 관점을 학문적으로 고찰합니다. 하워드 가드너와 다중지능이론의 등장 배경하버드대학교의 교육심리학자 하워드 가드너는 1983년 『마음의 틀』에서 기존의 지능 개념을 비판하며 다중지능이론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시 교육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지능을 일반적으로 .. 2025. 5. 20. 페스탈로치의 교육관/빈곤과 교육/계층 재생산 페스탈로치는 단지 아동 교육의 이론가가 아닌, 교육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과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실천적 교육사상가였습니다. 그는 가난하고 소외된 아동에게 교육이야말로 인간다운 삶을 가능케 하는 열쇠라고 보았고, 이를 위해 감정·이성·행동이 통합된 전인교육을 강조했습니다. 오늘날 교육격차, 계층 재생산 문제, 복지적 교육정책 논의에서 페스탈로치의 사상이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의 교육이론이 단순한 역사적 유산을 넘어, 어떻게 현재 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지 조명해봅니다. 페스탈로치의 교육관페스탈로치의 교육철학은 철저히 실천 중심의 인본주의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그는 스위스 혁명기 혼란 속에서 부모를 잃거나 돌봄을 받지 못한 빈곤층 아동들을 직접 돌보며 교.. 2025. 5. 5. 루소『에밀』의 철학적 배경과 인간관/ 발달단계별 교육과정/비판과 현대적 시사점 장 자크 루소의 『에밀』은 근대 교육철학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은 결정적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이 글에서는 『에밀』의 핵심 사상과 교육적 메시지를 분석하고, 루소가 제시한 이상적인 인간 형성과 교육과정의 단계별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더불어 『에밀』의 한계와 현대 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 그리고 비판적 시사점을 함께 고찰함으로써 루소 교육철학의 의의와 오늘날의 함의를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루소『에밀』의 철학적 배경과 인간관루소의 교육철학은 계몽주의 시대의 합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합니다. 당시 주류를 이루던 합리주의와 전통적 권위주의 교육은 인간을 사회의 도구로 간주하며 획일적 규율을 강조하였습니다. 루소는 이러한 통제 중심의 교육이 인간 본성을 왜곡한다고 보았고, 이를 반박하며.. 2025. 5. 4.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